티스토리 뷰
* 지난 2020년 8월 25일부터 9월 4일 새벽까지 코로나 시대에 혼자 가 본 아프리카 출장기를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기억에 근거해 기록해 둔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14일간의 의무 자가 격리 기간이라는 시간을 견뎌 보자는 의도도 있지만, 코로나 시대에 아프리카를 다녀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쉽게 찾아볼 수 없어 기록해 본다는 의도도 있다.
물론, 나는 출장을 떠나기 전 한국에서 수차례, 아프리카 현지에서 2번, 귀국해서 1번 코로나 테스트를 받았으며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고, 2020년 9월 17일 정오에 무사히 해외 입국자 의무 자가 격리에서 해제되었다.
경유지인 두바이 공항에 내렸다. 그러나 태풍 때문이었는지는 몰라도 대기시간이 2시간 더 늘어나 있었다.
밤을 꼬박 새워야한다는 의미였다.
나는 나이로비로 향할 때의 막연한 걱정으로 여기 저기 두리번거릴 때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어디서 무얼 하며 밤을 새야 할지 생각하느라 다시 두리번거렸다.
'7시간이면 애매하다. 뭘 해야 하나'
각 환승 게이트마다 근처에 설치되어 있던 발걸이가 있는 의자에서 우선 눈을 붙여 볼 생각으로 어슬렁거려 보았는데, 이미 사람들이 모두 저마다 한자리씩 차지하고 곤히 자고 있었다.
자는 사이 짐을 잃어버릴 새라 모두들 가슴에 배낭을 얹고, 편안해 보이는 발걸이 대신 캐리어에 발을 얹은 채로.
하릴없이 공항을 어슬렁거리며 시간을 보내다가 한국행 비행기의 환승 게이트 앞에 앉아서 게이트가 열리길 기다리고 있는데,
노란색 실로 한국 회사 이름이 자수되어 있는 겨울용 작업복 점퍼를 입고 있어서, 나이로비 공항의 출입구에서부터 눈에 띄었던 케냐 사람이, 무언가가 프린트 된 서류를 들고서 내게 영어로 무언가를 물어왔다.
"제가 한국말은 알아듣는데, 쓸 줄은 잘 몰라서요. 여기 이곳에 무얼 적으면 될지 도와주실 수 있나요?"
그가 들고 있던 것은 한국 주소가 적힌 월세 계약서였고, 내게 내민 것은 한국 입국에 필요한 검역 관련 서류였다.
월세 계약서에 적힌 이름은 '사무엘' 이었는데, 그는 한국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으로 이번에 회사 근처의 빌라로 새로 이사하는 모양이었다.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의 게이트가 드디어 열리고 그와 나는 같은 줄에 서서 기다리고 있는데, 한국 사람이냐고 영어로 물어보는 항공사 직원의 안내에 내가 '사무엘' 보다 먼저 게이트 안으로 들어갔다.
이제 8시간여의 비행과 그보다 짧은 시간을 더 길 위에서 보내고 나면,
나는 부산 어머니 집에 도착할 것이고, '사무엘'은 새로이 월세 계약을 한 천안의 새 보금자리로 가게 될 것이다.
Emirates 항공의 앱에서 알려 준 도착 예정 시각과 정확한 시간에 인천 공항에 도착했다.
입국 수속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자가 격리자 보호 앱과 자가 진단 앱 두 가지를 미리 핸드폰에 내려받고, 격리 통지서를 제출한 후 검역 확인증을 받아야 했다.
입국 수속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는데, 앱은 다운 받았는지, 격리 통지서에 적어 넣은 연락처로 실제로 연락은 닿는지, 공항에 출장 나온 공무원을 도와주던 국군 장병들이 일일이 확인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이제는 출국할 때부터 궁금해 미리 조사해 두었던, 코로나 시대에 입국자들이 자가 격리 장소까지 이동하는 방법이 실제로도 맞는 것인지 체험해야 할 순서였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촘촘하게 잘 짜인 듯했다.
인천공항에서 KTX 광명역까지 이동하는 버스를 기다리는 장소,
버스에서 하차한 후 기차를 타기 위해 대기하는 장소,
기차를 타기 위한 플랫폼 심지어 기차의 입국자 전용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수고롭게 일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역에 도착해서도 마찬가지였다.
기차에서 내리면서부터 입국자들은 철도 경찰관들과 관계자들의 안내에 따라 자가용 이용객과 '방역 택시'인 장애인용 '두리발' 택시 이용객들로 구분되어 이동했는데,
생뚱맞게 군 복무 시절 자대 배치를 받기 위해, 어디로 가는 지도 모른 채 올라탔던 밤 기차에서 내려 어리둥절해 하던 기억이 소환되었다.
밤늦은 시간에 짐을 든 채, 누군가의 인솔을 받으며, 기차에서 내려 이동해 보았던 건 그때가 마지막이었으므로.
부산역 건물을 돌아 나와 마주친 선별 진료소에서 나와 같은 입국자들은 검체 채취를 받았는데, 밤 12시가 넘은 그 시각에도 묵묵히 할 일을 하고 있는 간호사와 보건소 관계자들이 고마웠다.
검체 채취를 받고 대기 장소에서 두리발 택시를 기다렸다. 한 시간이 채 안 되어 나는 프랑스에서 귀국한 여성분과 함께 택시를 탔다.
방호복, 고글, 마스크 그리고 니트릴 장갑을 갖춘 운전기사분은 부산에서는 총 7대의 방역 택시가 운영 중이며,
같은 권역별로 입국자들을 최종 목적지까지 데려다준 다음, 부산역으로 돌아가서 다음 입국자들을 태워야 하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고 말해 주었다. 한 시간 정도의 대기시간은 양호한 편이라면서.
태풍이 지나간 어머니 집에 도착했다.
'드디어 왔네.'
저녁 7시가 안되어 인천 공항에 도착했었는데, 어느덧 핸드폰의 시간은 새벽 2시를 향해 가고 있었다.
14일간의 자가 격리가 시작되었다.
'기록하기 > 코로나시대 케냐 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무리 : 자가 격리와 수고로운 자들 (0) | 2020.10.06 |
---|---|
20. Classic Blue & Get Happy (0) | 2020.10.04 |
19. 망설임과 캐터필라 (0) | 2020.10.03 |
18. 선택의 순간에 가지는 기준 (0) | 2020.10.02 |
17. 코로나 시대의 '다행 多幸' 결정자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