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세기 전반에는 이국적이라는 말이 중동이라는 말과 동의어였다고 합니다.
동양인들 역시 유럽에 대한 환상과 동경을 갖고 있었죠.
그런 느낌들을 집약한 이국적이라는 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알랭 드 보통이 철학자답게 그 정체를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지요.
우리가 외국에서 이국적이라고 여기는 것은 우리가 고향에서 갈망했으나 얻지 못한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익숙한 것과 낯선 것의 차이,
결핍과 매혹과 두려움의 사이,
그 어디쯤에 이국적이라는 느낌의 주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by 세음
'받아쓰기 > 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광본 시인 「귀가」 (0) | 2019.10.22 |
---|---|
가을 저녁 여섯 시 (0) | 2019.10.22 |
색깔이 다른 신발 (0) | 2019.10.22 |
라이너 쿤체 「한 잔 자스민 차에로의 초대」 (0) | 2019.10.15 |
평범한 내가 비범해지는 순간 (0) | 2019.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