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蜀之童。得瑟瑟之珠數千。
촉지동。득슬슬지주수천。
중국 촉나라에 살던 한 사내 아이가。 '슬슬주' 라는 귀한 구슬 수천 개를 얻었다。
見而悅之。或懷之或襭之。或含之以口。或握之以手。
견이열지。혹회지혹힐지。혹함이지구。혹악지이수。
슬슬주를 보고 사랑스러워。품에 품기도 하고, 옷깃에 차기도 하며。입에 물기도 하고。손에 움켜쥐기도 하다가。
東適洛。以求其售。
동적락。이구기수。
동쪽의 낙양(洛陽)에 가서。이를 팔려고 하였다。
旣行勞而披則懷者落。
기행노이피즉회자락。
곧 길을 떠나고 피로해져 앞가슴을 헤치면, 품은 것이 떨어지고。
涉而頫則襭者迸。
섭이부즉힐자병。
물을 건널 때에 몸을 구부리면 옷깃에 찬 것이 흩어지며。
見可喜而笑。可言而言則含者出。
견가희이소。가언이언즉함자출。
기뻐할 일이 있어 웃거나。말할 일이 있어 말을 하면 입에 문 것이 밖으로 나오고。
猝遇蜂蠆虺蜴害身之物。
졸우봉채훼척해신지물。
갑자기 벌(봉), 전갈(채), 살무사(훼), 도마뱀(척) 등 사람을 해치는 것들과 맞닥뜨려。
欲有以衛其患則握者釋。
욕유이위기환즉악자석。
슬슬주를 지키고 환난을 벗어나려 하면 손에 움켜쥔 것을 놓치게 되었다。
未至半而瑟瑟盡矣。
미지반이슬슬진의。
그리하여 낙양에 절반도 못 가서 슬슬주가 다 없어지게 되었다。
悵然而反。以告其老賈。
창연이반。이고기노가。
몹시 서운하고 실망한 채 돌아와。 늙은 장사치 [賈 가 씨] 에게 그 사실을 말하니。
賈曰嗟乎惜哉。盍蚤來問。
가왈차호석재。합조래문。
가씨가 말하길 아! 애석하도다。왜 진작 내게 물으러 오지 않았는가。
夫致瑟瑟有法。
부치슬슬유법。
무릇 슬슬주를 다루는 데에는 방법이 있다。
중략
今子雖得瑟瑟萬斛。無串以串之。何適不失。
금자수득슬슬만곡。무관이관지。하적불실。
지금 그대가 비록 슬슬주 만 섬을 얻었더라도。꿰미로 꿰지 않았으니。어디선들 잃어버리지 않겠는가。
今夫學問之法猶是也。
금부학문지법유시야。
지금 학문하는 법도 마땅히 이와 같다。
凡九經九流百家之書。其名物數目。皆瑟瑟也。
범구경구류백지서。기명물수목。개슬슬야。
무릇 구경(九經)과 구류백가(九流百家)의 서적에 있어。그 명물과 수목(名物數目)이。모두 슬슬주이다。
不有串以串之。無亦隨得而隨失乎。
불유관이관지。무역수득이수실호。
꿰미로 꿰는 것을 본받지 않으면。이또한 얻는 대로 곧 잃어버리지 않겠는가。
하략
「소학주관 서 小學珠串 序」 중
著 다산 정약용
※ 구경 九經
「주역 周易」, 「시전 詩傳」, 「서전 書傳」, 「예기 禮記」, 「춘추 春秋」, 「효경 孝經」, 「논어 論語」, 「맹자 孟子」, 「주례 周禮」
※ 구류백가
九流百家 중국 선진 (先秦) 시대의 유가, 도가, 음양가, 법가, 명가, 묵가, 종횡가, 잡가, 농가 9개 학파와 그 사상을 설파한 학자들.
※ 명물수목 名物數目
어린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고경, 제자백가 류, 역사서 등에서 명물에 관련된 어휘를 뽑고 앞에 숫자를
덧붙여 사전식으로 설명한 저자의 「소학주관」 책의 형식을 이르는 말.
http://tasan.or.kr/tasan/writings/writings2_cn03.asp
"다산 정약용이 49살 때 어린이들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썼던 '소학주관'이란 책의 서문에서
지식이 아무리 많아도, 잘 정리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는 뜻으로 한 말입니다.
실제로 슬슬주라는 귀한 구슬은 색색별로 꿰어서 가죽 상자에 담아 간직한다고 합니다.
구슬 같은 생각을 잘 정돈하고, 엮는 데에는 음악만큼 좋은 친구가 없을 것 같습니다."
-by 출팸
♬ Franz Liszt 리스트 곡 - "Piano Concerto No. 1 in E Flat Major, S. 124 - I. Allegro maestoso"
#pf_Krystian Zimerman
#con_小澤征爾 지휘_오자와 세이지
#orch_Boston Symphony Orchestra
https://youtu.be/SPLgcrVyEVU
'받아쓰기 > 말과 문장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복여 시인 「기억은 스프링노트 속에서」 (0) | 2023.04.16 |
---|---|
600도 벚꽃의 법칙 (0) | 2023.03.19 |
실패라는 것은 (0) | 2023.01.22 |
꾸준함이 가진 놀라운 힘 (0) | 2023.01.18 |
박우복 시인 「12월의 이야기」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