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견디고 있다는 건 그리운 사람이 있기 때문이라는 시인의 말은, 우리를 견디고 살아가게 하는 힘이 '그리움'이라는 말이기도 하지요. 사람에 대한 그리움도 있겠지만, 설명할 수 없는 막연한 그리움이라는 것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를 오늘 하루도 견디게 한 그 막연한 그리움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때로는 대상이 무엇인지 누구인지 정확히 몰라서, 더 우리 마음을 사로잡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 그리움의 정체를 알고 싶어서 오늘도 그 힘으로 또 한 계절을 살아갑니다." -by 풍.마. ♬ "날마다 숨 쉬는 순간마다" #원곡_스웨덴 성가 'Blott En Dag 오직 하루' #해금_노은아 #pf_박정규 https://youtu.be/QN60sbHlyzk

"세상에는 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일이 대부분인데, 우리는 시작하기도 전에 할 수 있겠느냐는 다그침을 받곤 합니다. 잘 모르고 하는 다짐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그렇게 미리 답을 강요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스무 살이 되는 사람들에게는 물론이고, 나이가 몇이든 또 어떤 일에서든 마찬가지 아닐까요.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한 번 해보자. 하는 데까지 열심히 해보자. 이렇게 말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by 풍.마. https://namu.wiki/w/%EB%B0%9C%EB%A0%88%EA%B5%90%EC%8A%B5%EC%86%8C 발레교습소 발레교습소 (2004) Flying Boys 장르 드라마 감독 변영주 각본 신혜은 제작 김미희, 신혜은 출연 윤계 namu.wiki ♬ Pyotr Ily..

"크로노스가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객관적으로 측량할 수 있는 시간,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시간이라면. 카이로스는 주관적 의미의 시간, 비록 찰나일지라도 구체적 사건 가운데에 놀라운 변화를 체험하는, 즉 때를 가리킵니다. 어떤 일을 하기에 적당한 때이자 기회로서의 시간 말입니다. 주말은 크로노스에 따라 살았던 우리들이 그나마 카이로스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는 시간입니다. 잠이 오지 않으면 오지 않는 대로, 억지로 눈을 붙이지 않아도 되는 주말 입니다." -by 당.밤. ♬ Claude Debussy 끌로드 드뷔시 곡 - "Beau Soir 아름다운 저녁" #sop_Diana Damrau 소프라노_디아나 담라우 #hp_Xavier de Maistre 하프_그자비에 드 메스트르 https://youtu.b..

"전업주부였던 박완서 작가는 마흔 살에 소설 「나목裸木」을 써서 작가로 데뷔했고, 프랑스 화가 앙리 루소 Henri Rousseau 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49살에 퇴직했습니다. 피아니스트 메나헴 프레슬러 Menahem Pressler 는 53년간 보자르 트리오 Beaux Arts Trio 에서 연주하다가 아흔 살에 베를린 필하모닉과의 협주곡 데뷔 무대에 올랐습니다." -by 출.팸. https://menahempressler.org/bio.html Menahem Pressler's Official Site Menahem Pressler, founding member and pianist of the Beaux Arts Trio, has established himself among the world’s..

"누군가는 이렇게 적었습니다. '아무도 그 나무가 어떻게 거기까지 갔는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확실히 알지 못하지만. 해가 갈수록 아래로 자라 무화과를 맺습니다. ' No one is quite sure how the tree ended up there or how it survived, but year after year it continues to grow downwards and bear figs.' 천장에 뿌리를 내리고도 그 무엇도 탓하지 않는 이 나무에, 우리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비춰봅니다. 뿌리로 움켜쥐어보려는 노력도 없이 어디로든 뻗어보려는 노력도 없이 나는 무엇을 그렇게 탓하고 있었나. 하고 말이죠" -by 당밤 ♬ Ludwig van Beethoven 베토벤 곡 - "Piano Conc..

"좋은 대화를 할 때, 명상을 할 때, 음악과 하나가 될 때. 얻는 즐거움이 곧, 좋은 삶이자 에우다이모니아 Eudaimonia 입니다. 좋은 대화와 명상으로 즐거움을 얻는 삶. 음악으로 즐거움을 얻는 삶. 이렇게 좋은 삶에는 있고, 나쁜 삶에는 없는 것이 침묵이다. 명상 지도자 코이케 류노스케 小池龍之介의 말입니다. 차라리 침묵하든가 아니면 입에 담아도 좋은 말만 해라. 코이케 류노스케가 전하는 메시지인데요. 입에 담아도 좋은 말은 살아있는 모든 것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말. 이런 좋은 말과 침묵을 가까이 둘 수 있다면 좋겠다 생각해 봅니다." -by 노.날. ♬ When It's Lamplighting Time In The Valley https://youtu.be/FNJ0IwRmTRk

"전북 군산의 한 여고 교실 칠판 한쪽에는 이번 주의 명언이 걸려 있습니다.이 학급은 1인 1역할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명언을 담당한 학생이 친구들과 나누고 싶은 좋은 말 한 마디를 골라 커다랗게 써서 붙여놓은 겁니다. 거기엔 만화영화 '짱구는 못말려'에서 짱구 아빠가 한 것으로 알려진 말이 적혀 있습니다.나에게 용기를 준 한마디가, 다른 누군가에게도 힘이 돼주길 바라며. 꿈을 향해 달려가는 하루 시작해 봅니다."-by 출.팸. ♬ Ludwig van Beethoven 베토벤 곡 - "Symphony No. 5 교향곡 5번 '운명' in C Minor, Op. 67: IV. Allegro" #con_Mariss Jansons 지휘_마리스 얀손스 #orch_Royal Concertgebouworkes..

"국화차를 마시고 비로소 사람이 된다. 향기로운 꽃을 마셔도 꽃이 되기는 어렵고, 겨우 사람이 된다. 시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세상에 아름다운 모든 것을 담고 싶어 하지만 바라는 대로 되진 않습니다. 하지만 가장 아름다운 것을 담고 싶어 하는 마음 덕분에 그보다는 못해도, 아주 나쁘지 않은 존재가 될 수 있는 거 아닐까요. 꽃차를 마시며 꽃이 되기를 꿈꾸어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시인의 말처럼 우리는 늘 더 아름다운 것을 꿈꿉니다. 더 나쁜 무엇이 되지 않기 위해서 말이죠." -by 풍마 ♬ 나태주 시, 박경훈 곡 - "바람에게 묻는다" #voc_정가正歌 앙상블 소울지기 https://youtu.be/0sVBCZ2DRt4

"틀리는 음 없이 정확하게 연주해도 그것이 꼭 잘 된 연주라고는 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녀의 스승이었던 김대진 교수는 제자에게 '매지컬 모먼트'를 이야기했습니다. 매지컬 모먼트 Magical Moment. 그러니까 마법 같은 순간. 관객이 집에 돌아가서까지 또렷이 기억해서 모든 사람과 공감하고 싶은, 하지만 말로는 설명할 길이 없는 마법 같은 순간이 있었다면 그 연주에는 성공한 거라고 말이죠. 우리의 하루하루도 무대와 같을 겁니다. 오늘 사소한 실수를 저질렀더라도 두고두고 떠오르는 빛나는 순간이 있다면 그 하루는 괜찮은 하루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by 당.밤. http://www.yes24.com/Product/Goods/17724919 하노버에서 온 음악 편지 - YES24 손열음의 이번 ..

각도만 잘 잡고 다시 보면, 내가 알고 있던 그 사람과는 다른 사람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기 시작하면서 잘하게 된 것 중 하나가 사진이 잘 나오는 각도 잡기입니다. 특히 셀카를 찍는 사람을 구경하는 일은 어떤 각도로 찍으면 사진이 잘 나오는가, 각도에 대한 배움의 시간이 되기도 하죠. 달도 보이는 각도에 따라서 달라지고 사람도 그렇다면, 사는 일도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지 않을까. 셀카 찍을 때처럼만 열심히 찾아보면 가장 살만한 각도도 찾아낼 수 있을 겁니다.” -by 노날 “Göttingen 괴팅겐" #org_voc_Barbara 원곡_바르바라 #voc_ms_ Anne Sofie von Otter 노래_메조소프라노_안네 소피 폰 오터 https://youtu.be/Urm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