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카모토 도라지 塚本虎二 가 쓴 스승 이야기, '우치무라 간조 内村鑑三' 와의 추억에 나오는 일화 아이를 즐겁게 해주려고 얼굴에 분칠을 했는데, 도리어 아이가 질겁하고 울 때. 부모라면 한 번쯤 경험하게 되는 일입니다. 내가 재밌어하는 일을 상대방도 재밌어 하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지극히 내가 중심인 생각이죠. 나한테 좋은 것이 남한테는 싫은 것일 수 있습니다. 하루의 평화가 여기에서 깨지는 일이 없기를 기대합니다." -by 노날 http://www.yes24.com/Product/Goods/97313581 작가의 마감 - YES24 쓸 수 없다, 그래도 써야 한다30명의 일본 유명 작가 마감분투기『작가의 마감』에 등장하는 일본 작가들은 하나같이 글 잘 쓰기로 너무나도 유명한 대문호들이다. 그들은 펜만..

"식물은 여기서 한 번 더 생각하고 서로 단합했습니다. 꽃가루 받이를 위해 벌과 나비를 아름다운 꽃으로 유혹은 하되, 그들에게 아주 소량의 꿀만 주기로 한 겁니다. 꽃들이 벌과 나비에게 아주 소량의 꿀을 주는 이유는 다른 꽃들을 배려해서입니다. 벌과 나비들이 배가 부르면 다른 꽃들을 찾아다니지 않겠죠. 그럼 꿀을 듬뿍 내어준 꽃은 생각 없는 꽃이 되어 버림과 동시에, 다른 꽃들은 꽃가루 받이를 할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벌과 나비 입장에서는 꽃들이 좀 인색해 보이겠지만, 꽃들의 입장에선 그래야만 이웃을 도울 수 있는 폭넓은 생각에서 나온 행동입니다. 각자 나름대로의 처지와 입장이 있는 건, 자연도 마찬가지인 듯합니다." -by 노날

"그러다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인생은 한정된 조각의 애플파이와 같다. 어떤 부류는 할 수 있을 때, 내 것을 챙기자고 말한다. 다른 부류는 이렇게 말한다. 인생은 한정된 조각의 애플파이와 같다. 다 먹고 나면, 다른 사과나무를 찾아서 또다른 애플파이를 굽자' 다 먹고 나면 다른 사과나무를 찾아서 또다른 애플파이를 굽자. 마음이 평화로워질 수 있고,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는 비결처럼 들립니다." -by 세음 ♬ Wolfgang Amadeus Mozart 모차르트 곡 - "Serenade for winds No.10 in B flat major “Gran Partita 그랑 파르티타”, K.361 중 3악장 Adagio #con_Nikolaus Harnoncourt 지휘_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orc..

"공통점이 없는 사람이라도 이것 만큼은 공통적일 겁니다. 바로 행복해지고 싶다. 그러고 싶다면 이러한 것들을 버리라고 하는데요. 그 목록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저지르는 실수들이죠. 그리고 온통 잡념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잡념이 많으면 행복 이라든가 즐거움이 들어오고 싶어도 빈자리가 없어서 못 들어올 것 같습니다. 깨끗이 비 질 하듯 모든 잡념을 털어내고 행복과 즐거움이 들어올 자리를 마련할 수 있으면 좋겠다 생각해 봅니다." -by 세.음. "마침내 누구에게라도 내가 먼저 망설임 없이 엷은 미소를 지어 보일 수 있는 계절에 도착했다는 안내 방송을 들은 것 같은 하루였습니다. 습기 없는 바람과 기분 좋은 햇볕, 한층 짙어진 색깔의 구름과 하늘. 그리고 어제보다 조금씩 더 일찍 찾아오..

"와타나베는 지루하고 덤덤한 인생을 끝내고, 뜻있고 굳은 의지의 인생을 시작한 후 새로 만들어진 운동장을 보고 나서 눈을 감습니다. 새로 만든 운동장에서 그네를 타며 인생은 짧다고 노래한 남자. 쿠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라는 영화에 나오는 인물입니다. 이 영화에 나오는 유한한 삶의 기간이 6개월인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뭔가를 계획해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시간. 영화를 보는 사람들에게 그런 자극을 줄 수 있는 시간으로 잡은 시간이 6개월이었다고 합니다." -by 노날 ♬ "Time After Time" #voc_Plácido Domingo & Harry Connick Jr. 노래_플라시도 도밍고 & 해리 코닉 주니어 https://youtu.be/e8Wzjrq83Go

"이들은 아마추어라는 뜻으로 '딜레탕트'로 불렸지만, 진정으로 기쁘게 작곡에 임했고, 음악사에 길이 남는 작품들을 만들어냈습니다. 예술을 사랑하는 것도 능력입니다. 공무원이었지만 작곡가로 더 널리 알려진 무소르그스키처럼, 해군 장교였다가 작곡가로 전향한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경우처럼. 예술은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인생의 새로운 문을 열어주기도 합니다." -by 당밤 ♬ Nikolay Rimsky-Korsakov 림스키-코르사코프 곡 - "Scheherazade 세헤라자데, Op. 35: III. The Young Prince and The Young Princess 젊은 왕자와 젊은 공주" #con_Vasily Petrenko 지휘_바실리 페트렌코 #orch_Oslo Philharmonic Orches..

"제주도에는 마을에 있는 팽나무에 하얀 한지, 아무것도 적히지 않은 백지들이 주렁주렁 매달린 걸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간절히 바라는 소원을 그 백지를 가슴에 대고 빈 뒤 나무에 매달아 놓는 거죠. 오늘은 2023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 원서 접수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마음에 두툼한 소원 종이를 품고 이 뜨거운 여름을 지나는 모든 수험생들에게 또 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나를 위해, 가족을 위해, 누군가를 위해 열심히 하루를 준비하는 당신에게 진심어린 응원을 보냅니다." -by 출팸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20915/49428528/1 [인문사회]팽나무 가지에 제주여인의 소원 걸렸네 책이 조금만 일찍 나왔더라면 이미 흘러간 여름휴가를..

"이럴 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한덕현 교수는 선수들에게 독특한 제안을 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눈을 감고 스윙을 한 번 해보시죠' 눈을 뜨고 있을 땐 너무 많은 것들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거울 속의 나. 주변 코치의 눈. 공이 날아가는 방향까지. 자꾸 외부의 것들로 눈이 가고 말죠.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눈을 감고 나의 현재 모습에 집중해야 한다고 그는 말합니다. 문제의 해결책은 지금 여기 있는 나에게서 발견할 수 있을 테니 말입니다. 문제 안에 답이 있듯, 어떤 문제들은 오로지 내 자신에게 집중했을 때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by 당.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

"라틴어 'beatitudo 베아티투도'는 행복이란 뜻으로 쓰이는 말이지만, 의미 뿐만 아니라 행복해지는 방법까지도 알려주는 말입니다. 남들 눈엔 참 행복해 보이는 사람이 정작 본인은 행복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 '베아티투도 Beatitudo 라면 설명이 가능해지죠. 남들 눈에 참 딱해 보이는데 정작 본인은 아무렇지도 않은 것. 이 또한 베아티투도 Beatitudo 라면 설명이 가능할 겁니다. 길고 긴 지루한 터널을 지나 환한 빛을 되찾고 싶어 하는 지금. 우리에게 '베아티투도 Beatitudo '라는 말을 되내어 봅니다." -curated by 노.날. https://allegle.com/latin-beatitudo-happiness-is-in-the-mind/ Latin ‘beatitudo’, ha..

"나는 권력이나 재력 같은 인간의 힘을 숭상하지 않지만, 식물의 강한 힘은 숭상하고 싶다. 그 강한 힘은 남을 무찌르는 힘이 아니라, 남을 살리는 힘이기 때문이다." - 「야생초 마음」 고진하 글, 이은비 그림. 쇠비름이라는 풀의 꽃말은 불로장수라고 합니다. 이 꽃말처럼 쇠비름은 생명력이 대단해서 길가와 빈터에서 흔하게 자라며 약으로도 쓰인다고 하죠. 그런데 농부들에겐 반갑지 않은 풀입니다. 아무리 뽑아서 던져놔도 다시 살아나 뿌리를 내리기 때문이죠. 고진하 시인은 야생초 마음이라는 책에서 이 쇠비름을 소개하면서 불로초는 결코 먼 곳에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쇠비름처럼 강한 생명력을 지닌 풀들이 어떤 의미에선 불로초라 불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죠. 그리고 쇠비름은 한여름인 이맘때 꽃을 피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