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hezQ/btrsFunhXF9/wapKR8x01231jGMLctsLMk/img.jpg)
"눈사람은 중세에도 있었지만 그보다 훨씬 전 고대에도 있었을 겁니다. 녹아내리면 그뿐인 눈사람을 사람들은 왜 만들기 시작했을까요. 만드는 수고에 비해 사라지는 속도가 허무할 정도로 빠르다는 것을 알면서도, 눈만 오면 눈사람을 만들고 요샌 또 눈 오리도 만듭니다. 눈사람이 주는 잠깐의 행복이 좋고, 그 잠깐의 행복을 위해 잡생각 없이 몰두하는 시간이 즐거워서가 아닐까. 아주 짧은 순간의 만족을 위해 걸어가는 시간들. 그 안에 오늘 오후의 어느 순간도 포함됐으면 좋겠습니다." -by 노날 ♬ 영국 민요 - "The Snow It Melts The Soonest" #voc_Sting 노래_스팅 https://youtu.be/bZHGh6X7hj4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QL85/btrstKDIBMv/LRYCP1WRZEUgHkte4JMws1/img.jpg)
"봄이 오고 있다. 돌아갈 때가 되었다. 갈 때는 너의 감感을 믿으면 된다. 한스 드 베르 Hans de Beer 의 동화 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입춘이라는 절기는 그런 날이어야 할 것 같습니다. 에 나오는 것처럼변화를 감지하고내가 따를 방향을 정하고믿고 갈 감感을 설정하는 날나를 재부팅하는 날.이유는 봄이 오고 있기 때문입니다."-by 노.날. ♬ 조성우 곡 - 영화 OST https://youtu.be/C_seZYWbRmI?si=v1m7mX0tJ0e-ssGq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roC4k/btrr2WYStTS/i0s1i0w2xMGHHtksFJ7oL1/img.jpg)
"그 무명 화가는 '하이멘 리프만' 입니다. 지우개 달린 연필을 만들어서 엄청난 돈을 벌어들인 인물이지요. 리프만이 연필과 지우개를 양철 조각으로 이어 붙이고, 특허를 받았던 때가 1858년. 이제는 칼로 연필을 깎아 본 사람보다 깎아보지 않은 사람이 훨씬 더 많습니다. 많은 것을 달라지게 하는 것은 시간입니다." -by 노날 ♬ "I didn't know what time it was" #voc_Sarah Vaughan 새라 본 https://youtu.be/cFpl82wjwVk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lbNQX/btrrIf4NDDN/a7ozP48uAJhk4j5A6fTYG1/img.jpg)
"로마의 집정관이었던 율리우스 파울루스 Julius Paulus 가 기원전 3세기에 만든 관용과 대화의 기본 원리라고 합니다. 파울루스가 '도 우트 데스'에서 강조한 것은, 내가 줄 때 네가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그래서 늘 준비해 두라고 했습니다. 나는 과연 타인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가. 줄 수 있는 무언가를 갖추는 것. 그게 힘이고 자존심이라고 했습니다." -by 노.날. https://forum.wordreference.com/threads/do-ut-des.1079322/ do ut des Hi all, I would like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proverb, "do ut des" (latin) in the British cultur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l4a6/btrrB4W1tLa/Ik7G4rqn4K5hLlXYG5cBs0/img.jpg)
"하늘이 내게 준 것은 다섯 개지만, 지금 여섯 개를 갖고 있다면 한 개는 덤으로 받은 것이죠. 처음부터 여섯 개를 원했을 때와 덤으로 한 개를 더 받아서 여섯 개가 되었을 때의 기분은 어떻게 다를까요. 감사한 마음과 기쁘고 행복한 마음은 덤으로 한 개를 받아 여섯 개를 채운 사람이 두 배는 더 클 겁니다. 그렇다면 기준치를 좀 낮춰야 하지 않을까요. 기준치를 낮추는 것. 그게 바로 내게 주어진 모든 것을 덤으로 받는 멋진 기술이 될 겁니다." -by 노날 ♬ Fritz Kreisler 프리츠 크라이슬러 곡 -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vn_Fritz Kreisler 바이올린_프리츠 크라이슬러 #pf_Franz Rupp 피아노_프란츠 루프 https://youtu.be/LWV2WFW0PVQ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YdQ2B/btrrsmpk62E/IgolwtJLzlBD6KttPNMLn1/img.jpg)
"한옥이 지어질 때 처음부터 덧창과 미닫이, 두껍닫이가 만들어진 건 아닐 겁니다. 덧창만으로는 겨울바람을 막는 데에는 부족한 듯 싶으니, 문 하나를 더 고안해서 달고 그래도 추우니까 하나 더 만들어 달고. 그러다 보니 삼중, 사중으로 문을 두게 된 것이겠지요. 겨울이 만들어 낸 한옥의 문에는 시련이 갖게 해 준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오늘의 시련에도 분명 지혜가 하나, 둘, 셋, 졸랑졸랑 붙어 있을 겁니다." -by 노날 https://blog.daum.net/marubo/6908917 문과 창호의 종류와 쓰임새 문과 창호의 종류와 쓰임새 여닫는 방법에 따라 여닫이, 미닫이, 미서기, 들어열개 등으로 나뉜다. 1) 여닫이 문틀의 선대인 문선(門線)과 문짝의 울거미 선대에 blog.daum.net ♬ R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wS1r/btrrmgaRucf/l0eiOwVQlXMkSjifUsEmoK/img.jpg)
"이런 현상을 가리켜 이라고 부릅니다. 옆에 있는 식물보다 더 많은 햇빛을 받아야겠다. 식물은 본능적으로 자신이 가진 모든 에너지를 을 위해 쓰겠지요. 때로는 햇빛을 보기도 전에 죽기도 합니다. 식물들이 그늘 탈출을 위해 쓴 에너지가 생각보다 훨씬 치열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숲을 이루고 있는 나무들과 풀들은 햇빛을 사이좋게 나누어 가진, 함께 을 한 나눔과 소유에 굉장히 탁월한 존재들일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by 노날 ♬ 러시아 민요 - "Snow, The Time Has Come (to melt)" #per_Moscow Male Voice Choir 연주_모스크바 남성 합창단 https://youtu.be/sYQKYyNUr0o